동탄본정형외과

척추

line

임상경험이 풍부한 정형외과/재활의학과 전문의가
다양한 근골격계 질환과 통증을 치료해 드립니다.

Dongtan Bon Clinic

척추관 협착증

척추관 협착증은 대부분 퇴행성의 변화(인대비후, 척추후방관절의 비후, 추간판 팽륜 및 탈출 등)로
신경이 지나가는 길이 좁아져서 신경이 눌리거나 신경 주위의 혈관이 압박되면서 발생하는 신경 손상으로 증상이 나타납니다.
중년에서 주로 나타나며 경추, 요추에서 흔합니다. 척추관 협착증은 협착 부위가 어디냐에 따라 증상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척추의 전방전위증, 후방전위증, 척추 분리증와 척추의 퇴행성 관절염 등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많습니다.
보통 목디스크, 허리디스크 질환과 협착증을 혼동해서 이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, 나타나는 증상이나 치료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.

척추관 협착증의 증상

목, 어깨, 견갑골 주변에 통증이 있다.  

손가락, 팔 등에 저리거나 전기가 통하는 느낌, 근육이 당기거나 칼로 베이는 듯한 느낌이 든다.

근력 약화가 상지에서 주로 나타난다.

글씨를 쓰거나 옷 단추를 푸는 일 등이 부자연스럽다.

평형감각이 떨어져 일직선으로 걸을 때 비틀거리는 경우가 있다.

다리에 통증을 느끼곤 한다.

팔다리의 감각 이상, 배뇨장애, 하반신마비 증상이 있다.

척추관 협착증의 치료

물리치료, 약물치료, 도수치료 및 자세교정, 운동치료, 신경차단술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.
그리고 수술적 치료는 영상검사에서 협착증이 심하다고 시행하는 것은 아니고 증상에 따라서 수술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.

top